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은 사도 야고보의 유해가 안치되었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세워진 성당으로,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위치해 있다. 9세기에 예배당이 지어진 이후 여러 차례 증축되었으며, 현재의 대성당은 1075년에 착공되어 1211년에 축성되었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물로, 18세기에는 바로크 양식의 파사드가 추가되었다. 대성당은 성지 순례의 종착지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내부에는 보타푸메이로라는 거대한 향로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 - 보타푸메이로
보타푸메이루는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서 티라볼레이로 8명이 도르래로 흔드는 400kg 무게의 거대한 향로로, 11세기부터 순례자 위생 및 전염병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안전을 강화하여 특별한 날에 의식을 거행한다.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 |
명칭 | サンティアゴ・デ・コンポステーラ大聖堂 |
위치 |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전례 | 로마 전례 |
관할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교구 |
웹사이트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 공식 웹사이트 |
![]() | |
건축 | |
종류 | 대성당, 바실리카 |
건축 양식 | 로마네스크 건축, 고딕 건축, 바로크 건축 |
정면 방향 | 서쪽 |
착공 | 1075년 |
완공 | 1211년 |
수용 인원 | 1,200명 |
첨탑 수 | 2개 |
문화유산 지정 | |
지정 연도 | 1896년, 1985년 |
문화재 지정 종류 | 스페인 문화유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유네스코 지정 명칭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구시가지) |
유네스코 지정 기준 | i, ii, vi |
유네스코 지정 번호 | 320bis |
스페인 문화유산 명칭 | Catedral Igrexa Catedral Metropolitana |
스페인 문화유산 번호 | (R.I.) - 51 - 0000072 - 00000 |
담당자 | |
대주교 | 프란시스코 호세 프리에토 페르난데스 |
2. 역사
전설에 의하면, 사도 성 야고보가 이베리아반도에 기독교를 전래했다고 한다.[47][48] 9세기경, 예루살렘에서 순교한 성 야고보의 유해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에 매장되었다는 전설이 생겨났다.[41]
814년, 펠라요가 리브레돈 숲 위의 밤하늘에서 기이한 빛을 본 후 성 야고보의 무덤을 재발견하였다고 전해진다. 이리아의 주교 테오도미루스는 이를 기적으로 여겨 아스투리아스의 알폰소 2세에게 알렸다. 알폰소 2세는 그 장소에 예배당을 건설하라고 명령했고, 전설에 따르면 그는 이 성소의 첫 순례객이었다. 829년에는 최초의 교회가 건설되었고, 899년에는 레온의 알폰소 3세의 명령으로 로마네스크 이전 양식의 교회가 건설되면서 이곳은 주요 성지 순례 장소로 점차 발전하게 되었다.[49][50]
997년, 초기 교회는 코르도바의 칼리프 군 지휘관 알만수르 이븐 아비 아미르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성 야고보의 무덤과 성물은 보존되었다. 기독교인 포로들이 코르도바로 끌고 간 교회의 문과 종은 알자마 모스크에 더해졌다.[51] 1236년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가 코르도바를 점령했을 때, 이 문과 종은 무슬림 포로들에 의해 톨레도로 운반되어 톨레도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 설치되었다.
현재의 대성당 건설은 1075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와 디에고 펠라에스 주교의 후원 하에 시작되었다.[42] 프랑스의 생 세르냉 대성당과 동일한 설계에 따라 화강암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지어졌다. 건설은 여러 차례 중단되었으며, '리베르 상티 야곱'에 따르면 1122년에 마지막 돌이 놓였지만, 대성당 건설이 완전히 완료된 것은 아니었다. 대성당은 레온의 알폰소 9세 치세인 1211년에 축성되었다.[52][53]
'코덱스 칼릭스티누스'에 따르면, 대성당의 건축가들은 '뛰어난 기술장 대 베르나르'와 그의 조수 로베르투스 갈페리누스, 그리고 후반기를 담당한 '대성당 작업 반장 에스테반'이라고 한다. 1100년 디에고 헬미레스는 에스테반에게 건축을 위탁했다.[42] 마지막 단계에서 '소 베르나르'가 건축을 완료하고 갈페리누스는 장식을 담당했으며, 1122년에 북쪽 입구 앞쪽에 기념물 성격의 분수대를 설치했다.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1075년에 자체 교구가 설치되었고, 성지 순례 장소로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1100년 교황 우르바노 2세에 의해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도루강 유역의 일부 교회들에 있는 특유의 랜턴 탑들 (사모라 대성당, 플라센시아 구 대성당, 토로, 에보라 대성당)이 15세기에 고딕 양식의 탑으로 대체된 산티아고 대성당의 로마네스크 돔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54] 대성당은 16, 17, 18세기에 확장되고 추가 시설물들로 장식되었다.
2. 1. 성 야고보 전설과 초기 교회
전설에 따르면, 사도 성 야고보가 이베리아반도에 기독교를 전래했다고 한다.[47][48] 사도행전에는 야고보가 헤롯의 명령에 따라 예루살렘에서 순교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9세기경 그의 유해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에 매장되었다는 전설이 생겨났다.[41]전승에 따르면, 성 야고보의 무덤은 814년에 은둔자 펠라요가 리브레돈 숲 위의 밤하늘에서 기이한 빛을 본 후 재발견하였다고 한다. 이리아의 테오도미루스 주교는 이를 기적으로 받아들였고 아스투리아스와 갈리시아의 왕 알폰소 2세 (791년-842년)에게 알렸다. 알폰소 2세는 그 장소에 예배당을 지으라고 명령했고, 전설에 따르면 그는 이 성소의 첫 순례객이었다고 한다.
그 후 829년에 최초의 교회가 건설되었고, 899년에는 레온의 알폰소 3세의 명령으로 로마네스크 이전 양식의 교회가 생겼는데,[49] 이는 이곳이 성지 순례 주요 장소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50]
997년, 이 초기 교회는 코르도바의 칼리프 군 지휘관 알만수르 이븐 아비 아미르 (938년-1002년)에 의해 파괴되었다. 하지만 성 야고보의 무덤과 성물은 그대로 보존되었다. 기독교인 포로들이 코르도바로 끌고 간 교회의 문과 종은 알자마 모스크에 더해졌다.[51] 1236년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가 코르도바를 점령했을 때, 이 문과 종은 무슬림 포로들에 의해 톨레도로 운반되어 톨레도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 설치되었다.
2. 2. 로마네스크 대성당 건설
전설에 따르면 사도 성 야고보가 이베리아 반도에 기독교를 전래했다고 한다.[47][48] 9세기경에는 예루살렘에서 순교한 성 야고보의 유해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에 매장되었다는 전설이 생겨났다.[41]은둔자 펠라요가 리브레돈 숲 위의 밤하늘에서 기이한 빛을 목격한 후, 서기 814년에 성 야고보의 무덤을 재발견했다. 이리아의 테오도미루스 주교는 이를 기적으로 받아들였고 아스투리아스와 갈리시아의 왕 알폰소 2세에게 알렸다. 알폰소 2세는 그 장소에 예배당을 지으라 명령했고, 전설에 따르면 알폰소 2세는 이 성소의 첫 순례객이었다고 한다. 그 후 서기 829년에 최초의 교회가 건설되었고, 899년에는 레온의 알폰소 3세의 명령에 의해 로마네스크 이전 양식의 교회가 생겨나면서, 이곳은 성지 순례의 주요 장소로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50]
997년에 이 초기 교회는 코르도바의 칼리프의 군 지휘관 알만수르 이븐 아비 아미르에 의해 재가 되고 말았다. 하지만 성 야고보의 무덤과 성물은 건들지 않고 내버려 두었다. 기독교인 포로들이 코르도바로 끌고 간 교회의 문과 교회종 등은 알자마 모스크에 더해졌다.[51] 1236년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에게 점령됐을 당시, 이 문과 교회종은 무슬림 포로들에 의해 톨레도로 운반되었고, 톨레도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 설치되었다.
현재의 대성당 건설은 1075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의 재위 시절과 디에고 펠라에스 주교의 후원 하에 시작되었다.[42] 프랑스 내 최대 규모의 로마네스크 건물이었을 툴루즈에 있는 생 세르냉 대성당과 동일한 설계에 따라 지어졌으며, 대부분 화강암 재료를 사용하였다. 건설은 수 차례 중단되었으며, '리베르 상티 야곱'(Liber Sancti Iacobi)에 따르면, 건축물의 마지막 벽돌이 1122년에 놓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그 시기 쯤, 대성당의 건설은 확실히 완료되지 않았었다. 대성당은 1211년 레온의 알폰소 9세가 있던 시기 축성되었다.[52][53]
'코덱스 칼릭스티누스'에 의하면,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의 건축가들은 '뛰어난 기술장 대 베르나르'와 그의 조수 로베르투스 갈페리누스(Robertus Galperinus), 그리고 후반기를 담당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성당의 작업 반장 에스테반'이라고 한다.[42] 마지막 단계에서 '소 베르나르'가 건축을 완료하였고, 갈페리누스는 장식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또한 1122년에 북쪽 입구 앞쪽에 기념물 성격의 분수대를 설치하였다.
1100년에 디에고 헬미레스는 장인 에스테반에게 건축을 위탁했다.[42]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1075년에 자체 교구가 설치되었다. 성지 순례의 장소로서 그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100년에 대교구로 그 지위를 승격시켰다.
도루강 유역의 일부 교회들에 있는 특유의 랜턴 탑들 (사모라, 플라센시아, 토로, 에보라)이 15세기에 고딕 양식의 탑으로 대체된 산티아고 대성당의 로마네스크 돔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기도 하다.[54]
2. 3. 후대 증축 및 변화
997년에 초기 교회는 코르도바의 칼리프의 군 지휘관 알만수르 이븐 아비 아미르에 의해 잿더미가 되었다. 성 야고보의 무덤과 유물은 그대로 보존되었다. 지역 기독교인 포로들이 코르도바로 운반한 문과 종은 알자마 모스크에 추가되었다.[51] 1236년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 국왕이 코르도바를 점령했을 때, 이 문과 종은 이슬람 포로들에 의해 톨레도로 옮겨져 톨레도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 설치되었다.현재 대성당 건설은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와 주교 디에고 펠라에스의 후원 아래 1075년에 시작되었다. 이 대성당은 프랑스에서 가장 위대한 로마네스크 건축물일 가능성이 있는 툴루즈의 생 세르냉 대성당과 동일한 평면도로 지어졌다. 주로 화강암으로 지어졌다. 건설은 여러 번 중단되었으며, '리베르 상티 야곱'에 따르면, 마지막 돌은 1122년에 놓였다. 하지만 그때까지 대성당 건설은 확실히 완료되지 않았다. 대성당은 레온의 알폰소 9세 국왕이 참석한 가운데 1211년에 봉헌되었다.[52][53]
'코덱스 칼릭스티누스'에 따르면 건축가는 "뛰어난 기술장 대 베르나르"와 그의 조수 로베르투스 갈페리누스, 그리고 나중에는 "대성당 작업의 장인 에스테반"이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소 베르나르"가 건물을 마감하는 동안 갈페리누스가 조정을 담당했다. 그는 또한 1122년에 북쪽 정문 앞에 기념비적인 분수를 건설했다.
도루강 유역의 일부 교회들에 있는 특유의 랜턴 탑들 (사모라 대성당, 플라센시아 구 대성당, 토로, 에보라 대성당)이 15세기에 고딕 양식의 탑으로 대체된 산티아고 대성당의 로마네스크 돔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기도 하다.[54] 대성당은 16, 17, 18세기에 확장되고 추가 시설물들로 장식되었다.
3. 건축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을 바탕으로 여러 시대에 걸쳐 증축 및 개축되어 다양한 건축 양식이 혼합된 모습을 보인다.
대성당의 건축은 크게 외부 파사드와 탑, 내부 구조로 나눌 수 있다.
- 외부 파사드: 대성당은 인접한 광장들을 따라 여러 파사드를 가지고 있으며, 각 파사드는 독특한 건축 양식과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다. 주요 파사드로는 오브라도이로 광장 쪽의 바로크풍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바로크와 신고전주의 양식이 혼합된 아시베차리아 파사드, 대성당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프라타리아스 파사드, 그리고 마에스트로 마테오가 제작한 로마네스크 조각의 걸작 포르티코 다 글로리아 등이 있다.
- 탑: 대성당에는 여러 개의 탑이 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베렝겔라 탑(시계탑)과 종탑이다. 베렝겔라 탑은 프라타리아스 광장과 퀸타나 광장 사이에 위치하며,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바로크 양식으로 증축하였다. 종탑은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양쪽에 위치하며, 페르난도 데 카사 노보아가 바로크 양식으로 설계하였다.
- 내부: 대성당 내부는 길이 97m, 높이 22m의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원통형 궁륭으로 덮인 신랑과 교차 궁륭으로 덮인 측랑, 넓은 익랑, 성가대, 여러 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13세기에 제작된 성 야고보 조각상과 거대한 천개가 있는 본당, 성 야고보와 그의 제자들의 유해가 안치된 지하 묘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큰 향로 중 하나인 보타푸메이로가 유명하다.
대성당의 건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 건축 양식 | 주요 특징 | 관련 인물/사건 |
---|---|---|---|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 바로크 | 넓은 유리창, 성 야고보와 그의 제자들 조각상, 16세기 이후 여러 차례 개보수 | 페르난도 데 카사스 노보아, 순례객 복장의 성 야고보와 제자들 |
아시베차리아 파사드 | 바로크, 신고전주의 | 성 야고보와 두 왕의 조각상, 신앙의 조각상, 1758년 화재 후 재건 | 루카스 페로 카베이로, 클레멘테 페르난데스 사렐라, 도밍고 로이스 몬테아구도, 아스투리아스의 알폰소 3세, 레온의 으르도뇨 2세 |
프라타리아스 파사드 | 로마네스크 | 대성당에 유일하게 남은 로마네스크 양식, 그리스도와 여러 인물 조각상, 1103년-1117년 건설 | 에스테반, 마에스트로 마테오, 다윗 왕, 아담, 모세 |
포르티코 다 글로리아 | 로마네스크 조각 | 로마네스크 조각의 걸작, 요한의 묵시록과 구약 성서 장면 묘사, 1188년 완공 | 마에스트로 마테오, 레온의 페르난도 2세, 레온의 알폰소 9세, 그리스도, 복음서 저자 |
퀸타나 파사드 | 바로크 | 포르타 레알(왕의 문), 포르타 산타(성스러운 문) | 호세 데 베가 이 베르두고, 호세 데 라 페냐 데 토로, 도밍고 데 안드라데 |
종탑 | 바로크 |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양쪽에 위치, 17세기에 페냐 데 토로와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만든 종탑 모방 | 페르난도 데 카사 노보아, 호세 데 라 페냐 데 토로, 도밍고 데 안드라데 |
베렝겔라 탑(시계탑) | 바로크 | 프라테리아스 광장과 퀸타나 광장 사이, 1676년-1680년 사이 증축, 천장 랜턴 | 도밍고 데 안드라데, 로드리고 델 파드론, 베렝게르 드 랑도르 |
신랑 | 로마네스크 건축 | 원통형 궁륭, 11개 공간, 의장 기둥 | |
내진 | 로마네스크 건축 | 주보랑, 5개 제실, 클리어스토리, 성 야고보 조각상, 천개 | |
묘실 | 로마네스크 건축 | 9세기 교회 하부 구조, 성 야고보와 제자들 유해, 은제 성유해함 | 교황 레오 13세, 호세 로사다 |
보타푸메이로 | 세계 최대 향로, 돔 도르래 장치, 티라볼레이로스 | 호세 로사다 |
3. 1. 외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의 외부는 인접한 광장들을 따라 형성된 파사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넓은 도심 광장을 이루고 있다.파사드 | 건축 양식 | 건설/완공 연도 | 건축가 | 특징 |
---|---|---|---|---|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 바로크 | 1740년 | 페르난도 데 카사스 노보아 | 넓은 유리창, 성 야고보와 그의 제자들 조각상 |
아시베차리아 파사드 | 바로크, 신고전주의 | 1769년 | 페로 카베이로, 페르난데스 사렐라, 벤투라 로드리게스 | 성 야고보와 두 왕의 조각상, 신앙의 조각상 |
프라타리아스 파사드 | 로마네스크 | 1103년 | 에스테반 | 대성당에 보존된 유일한 로마네스크 양식 파사드, 그리스도와 여러 인물 조각상 |
포르티코 다 글로리아 | 로마네스크 조각 | 1188년 | 마에스트로 마테오 | 로마네스크 조각의 초기 작품 |
퀸타나 파사드 | 바로크 | 1666년-1700년 | 호세 데 베가 이 베르두고, 호세 데 라 페냐 데 토로, 도밍고 데 안드라데 | 포르타 레알(왕의 문), 포르타 산타(성스러운 문) |
- 탑:
- 종탑: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왼쪽에 위치하며, 1738년 페르난도 데 카사 노보아가 설계했다. 17세기에 페냐 데 토로와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만든 종탑들을 모방하였으며, 바로크 양식 장식이 특징이다.
- 시계탑 (베렝겔라 탑): 프라테리아스 광장과 퀸타나 광장 교차 지점에 있다.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건축을 계속하여 1676년과 1680년 사이에 높이를 2개 층 높였다. 높이는 75m이다.
3. 1. 1.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오브라도이로 광장은 대성당 건설 당시 광장에서 작업했던 석공 작업장(obradoiro|오브라도이로gl)을 연상시킨다. 포르티코 다 글로리아를 기상 악화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 파사드와 탑은 16세기부터 여러 차례 개조를 거쳤다.[55][11] 18세기에 페르난도 데 카사스 노보아가 설계한 현재의 바로크 양식 파사드를 짓기로 결정했다. 이 파사드는 종탑과 래칫 탑 사이에 위치한 고대 로마네스크 건축 파사드를 비추는 큰 유리창을 갖추고 있다. 중앙부 중간에는 성 야고보가 있고, 그 아래에는 그의 두 제자인 아타나시우스와 테오도르가 모두 기독교 순례 복장을 하고 있다. 그 사이에는 천사와 구름 사이에 묻힌 무덤을 나타내는 항아리와 은둔자 펠라기우스가 본 빛을 나타내는 별이 있다. 오른쪽 탑은 성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 살로메를 묘사하고, 왼쪽 탑은 그의 아버지 제베데를 묘사한다. 왼쪽의 난간에는 성 수산나와 성 요한이, 오른쪽에는 성 바르바라와 야고보가 묘사되어 있다.[55][11]
막시밀리안 계단은 파사드로의 입구를 허용한다. 이 계단은 17세기에 히네스 마르티네스가 만들었으며, 팔라초 파르네세의 자코모 바로치 다 비뇰라의 영향을 받은 르네상스 양식이다. 이 계단은 12세기의 오래된 로마네스크 양식 지하 예배당, 통칭 "구 대성당"의 입구를 둘러싼 두 개의 경사로를 가진 다이아몬드 형태이다.[56][12] 마누엘 가고 마리뇨에 따르면, 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이 건설한 대성당의 막시밀리안 계단 기단의 조각상 역시 클라비호 전투와 관련이 있다.[13]
오브라도이로 파사드의 기존 평면과 오래된 로마네스크 양식의 포르탈(포르티코 다 글로리아) 사이에는 덮인 나르텍스가 있다.
이 파사드는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과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 따라서 1, 2, 5센트 스페인 유로 동전 뒷면에 새겨져 있다.
3. 1. 2. 프라타리아스 파사드

은(銀)세공품 파사드(갈리시아어: Pratarías)는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의 남쪽에 있는 파사드로, 대성당에 보존된 유일한 로마네스크 양식의 파사드이다. 1103년에서 1117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대성당의 다른 부분에서 가져온 요소들이 추가되었다.[57] 프라타리아스 광장은 대성당과 양쪽의 회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성당 옆쪽에는 카사 도 카비도가 있다.
두 개의 출입구에는 아치볼트와 오래된 팀파눔이 있다. 아치볼트는 11개의 기둥으로 되어 있는데, 이 중 3개는 흰색 대리석(중앙부와 모서리)으로, 나머지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아치볼트 중앙에는 12명의 선지자들과 사도들의 조각상이 바깥쪽으로 존재한다. 팀파눔에는 기이한 모양의 코벨이 떠받치고 있는 커다란 프리즈가 있으며, 프리즈가 있는 층에는 로마네스크 아치볼트로 장식된 창 두 개가 있다.[57]
프리즈 가운데에는 다양한 등장인물과 장면들과 같이 그리스도가 있다. 오른쪽의 인물 여섯은 19세기 후반에 설치된 마에스트로 마테오의 석재 성가대에 속한다. 18세기에 여러 도상들이 해체된 아시베차리아 파사드에서 발견되어 도상학적 요소들의 본래 규정이 틀렸음이 확인되었다.[58] 중심부의 메다이욘은 손을 벌리고 있는 불멸의 아버지 (혹은 변용)를 나타내며, 위쪽에는 최후의 심판을 알리는 트럼펫을 든 네 명의 천사들이 존재한다.[57]
왼쪽 문 팀파눔에는 악마 무리들에게 유혹을 받는 그리스도가 있다. 오른쪽 문에는 손에 해골을 든 반 나체의 여성이 있으며, 이는 이브 또는 간음하다 잡힌 여인일 것이다. 이 여인의 모습은 무릎을 꿇은 채 기도를 드리지 않고 사자 두 마리 위에 앉아 있다. 문설주에는 사도 안드레아와 모세의 모습을 담고 있다. 왼쪽의 지지대에는, 다윗 왕이 반투명한 얇은 옷을 입고 다리를 교차한 채 왕좌에 앉아 있고, 악에 대한 승리를 보여주는 레벡으로 보이는 것을 연주하고 있으며, 이 조각은 마에스트로 에스테반이 조각한 로마네스크 작품 중 일품으로 손꼽힌다. 아담의 창조와 그리스도의 축복 역시도 나타나 있다. 이 조각상들 다수는 북쪽 또는 도 파라이소 (현재의 아시베차리아 파사드)의 로마네스크 파사드에서 비롯한 것이고 18세기에 현재 이 파사드로 옮겨지게 되었다.[57][59]
오른쪽 문 팀파눔에는 그리스도의 수난과 동방 박사의 경배 등의 몇 장면들을 담고 있다. 문설주 중 하나에는 문설주가 놓인 것을 기념하는 명각이 존재한다: ERA / IC / XVI / V IDUS / JULLII. 이 표기는 로마력을 따르며, 스페인 기력으로 계산하면 1078년 7월 11일에 해당한다. 토끼를 먹고 있는 여우 그리고 이 반대편에 무릎에 동물을 올려둔 채 조심치 못한 옷을 입은 여성 등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형상이 있다. 베렝겔라 탑의 지지벽은 이브의 탄생, 왕좌에 앉아 있는 그리스도, 이삭의 번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보여주고 있다.[57]
3. 1. 3. 아시베차리아 파사드

아시베차리아 파사드(갈리시아어로 흑옥을 의미)는 인마쿨라다 또는 아시베차리아 광장에 있으며, 프랑스 길, 순례자 길, 북쪽 길, 잉글랜드 길 등이 오래된 천국의 문(Franxígena)을 통해 이곳으로 연결된다. 1122년에 대성당 책임자 베르나르도가 이 로마네스크 양식의 관문을 지었다. 1758년 화재로 피해를 입어 허물어졌고, 보존된 일부 조각상들은 다스 프라타리아스 파사드에 놓였다. 루카스 페로 카베이로가 바로크 양식으로 설계한 새 파사드는 1769년에 도밍고 로이스 몬테아구도와 클레멘테 페르난데스 사렐라가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완공했지만, 일부 바로크 양식의 흔적은 남아있다.[60]
파사드 정상 부분에는 18세기에 제작된 성 야고보 조각상과, 그의 발 밑에서 기도를 하고 있는 아스투리아스의 알폰소 3세와 레온의 으르도뇨 2세의 조각상이 있다. 중심부에는 신앙의 조각상이 있다.[61][62]
3. 1. 4. 퀸타나 파사드
퀸타나 광장을 마주보는 대성당의 파사드에는 포르타 레알(왕의 문)과 포르타 산타(성스러운 문) 두 개의 문이 있다. 바로크 양식의 포르타 레알은 1666년 호세 데 베가 이 베르두고와 호세 데 라 페냐 데 토로의 지휘 아래 건설이 시작되어 1700년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완공하였다. 안드라데는 2층 창문에 걸쳐 있는 기둥, 커다란 피너클이 있는 난간, 정교한 과일 송이와 거대한 군사 기념물로 장식된 말을 탄 성 야고보(현재는 없음)가 있는 에디쿨라 등을 만들었다. 스페인 왕들은 이 문을 통해 대성당으로 들어갔으며, 문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인방에는 왕가의 문장이 새겨져 있다.[57][63]성스러운 문(Porta Santa) 또는 용서의 문(Porta do Perdón)은 계단에서 가장 가까이 있다. 평소에는 울타리로 막혀 있다가 야고보 성년(7월 25일 야고보 축일이 일요일인 해)에만 열린다. 이 문은 작은 문 7개 중 하나로, 성 펠라기우스(맞은편 수도원에도 이름이 붙여짐)에게 봉헌되었다. 문에 있는 벽감에는 야고보와 그의 제자 아타나시오스, 테오도로스가 양쪽에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문 아래쪽과 양옆에는 마에스트로 마테오의 석제 성가대석에서 가져온 24명의 선지자와 사도 조각상이 놓여 있다. 이 문 안쪽의 작은 마당을 지나면 대성당 후진의 주보랑으로 이어지는 진짜 성스러운 문이 나온다.[57][64]
3. 1. 5. 종탑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 주 파사드의 초기 탑들은 로마네스크 양식이었다(현재의 오브라도이로 파사드). 이 탑들은 토레 다스 캄파스(Torre das Campás)라 불리며, 서간(오른쪽) 건물과 토레 다 카라카(Torre da Carraca) 그리고 복음 건물(왼쪽)에 위치했다. 높이는 75m와 80m 사이이다.[65]
탑은 12세기에 처음으로 지어졌고 15세기에 개조가 이뤄졌으며, 프랑스의 루이 11세가 1483년에 13개 탑 중에 가장 큰 두 개 종을 기부했다.[66]
16세기와 17세기 사이 건축물들 간의 기울기가 발견됨에 따라, 1667년과 1670년 사이에 버트레스로 탑들이 보강되었다.[67] 종을 달고 있는 탑들은 호세 데 라 페냐 데 토로(José de la Peña de Toro, 1614년–1676년)가 바로크 양식으로 지었으며 도밍고 데 안드라데(Domingo de Andrade)가 완공하였다. 이 탑들의 건축은 건축물의 수직선과 그 층을 이루는 배열이라는 관점에서 대단한 영향을 미쳤다.[67][68]
오브라도이로 파사드의 왼쪽에 위치했으며, 로마네스크 시대의 초기 탑 반대쪽에 지어졌다. 1738년에 페르난도 데 카사 노보아가 설계하였고, 17세기에 페냐 데 토로와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만든 종탑들을 모방하였으며 바로크 양식의 장식이 모든 종류의 장식 부분을 채우고 있어 파사드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다.[67]
3. 1. 6. 시계탑 (베렝겔라 탑)

시계탑은 토레 다 트린다데(Torre da Trindade) 또는 베렝겔라(Berenguela)라고도 불리며, 프라테리아스 광장과 퀸타나 광장의 교차 지점에 있다. 1316년 로드리고 델 파드론 대주교의 요청으로 방어탑 건설이 시작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사망한 후, 그의 후임자인 베렝게르 드 랑도르 대주교가 작업을 이어나갔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시기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66] 도밍고 데 안드라데가 대성당의 책임자가 되자, 1676년과 1680년 사이에 탑의 높이를 두 개 층 높였다. 다양한 건축술을 사용하여 조화롭고 장식성을 띠는 설계를 이루었으며, 피라미드 모양의 꼭대기와 건물 끝 부분에 4개의 전구가 달려 영구적으로 빛을 내는 천장 랜턴 등의 모습을 갖췄다. 높이는 75m이다.[68]
1833년, 라파엘 데 벨레스 대주교의 의뢰로 안드레스 안텔로(Andrés Antelo)가 각 모서리마다 시계를 설치하였다. 베렝겔라 탑의 기계 장치의 일부로서 종 두 개가 달려 있으며, 이 중 하나는 정각을 나타내는 베렝겔라, 다른 하나는 15분 간격을 알리는 작은 종이다. 1729년 궤메스 삼페드로(Güemes Sampedro)가 이 종들을 주조했다. 베렝겔라는 지름 255cm, 높이 215cm, 무게 약 9600kg이며, 작은 종은 지름 147cm, 높이 150cm, 무게 약 1839kg이다. 원래의 종들은 금이 가 교체되었으며, 현재의 복제본은 1989년 아스턴의 에이스바우츠(Eijsbouts) 공방에서 만들어져 1990년 2월에 대성당에 설치됐다.[69][70]
야고보 축일 기간, 순례객들은 전대사를 얻기 위하여 성문을 통과하여 대성당에 들어간다.[71] 축일 동안, 베렝겔라 탑의 천장 랜턴은 항상 빛을 낸다. 축일이 아닌 날에는 빛을 내지 않는다. 이 빛은 축일 기간 대성당을 향하는 순례객들을 안내하기 위한 등대 역할을 한다.[72]
3. 2. 내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은 길이 97m, 높이 22m의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건물이다. 원래의 원통형 궁륭과 십자형 구조를 간직하고 있으며, 단일 신랑, 두 개의 측면 통로, 넓은 익랑, 성가대, 그리고 여러 제실들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주요 교회들과 비교했을 때, 대성당 내부는 처음에는 엄숙한 인상을 주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장대한 오르간 파이프와 화려한 성가대를 볼 수 있다. 스페인에서 가장 큰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이자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이다.
대성당 내부는 크게 신랑, 내진, 묘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타푸메이로라는 유명한 향로가 있다.
- '''신랑'''은 원통형 궁륭으로 덮여 있고, 측랑은 교차 궁륭으로 덮여 11개의 공간을 이룬다. 넓은 익랑은 6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기둥에는 의장 기둥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중 세 개는 측랑의 교차 궁륭과 아치볼트의 트러스를 지탱하고, 네 번째 기둥은 아치볼트 중심부에 도달한다.
- '''내진'''은 3개의 공간에 걸쳐 있고 주보랑과 5개의 제실로 둘러싸여 있으며, 클리어스토리를 형성하는 원형 창문이 있다. 13세기에 제작된 성 야고보 조각상과 거대한 천개가 본당 위에 있다. 순례자들은 본당 뒤 좁은 통로를 통해 성인의 조각상 망토에 입을 맞출 수 있다. 내진 쪽 통로에는 격자 구조로 된 몬드라곤 채플(1521)이 있다. 제실들에는 수 세기 동안 수집된 그림, 제단화, 성유해함, 조각상 등이 있다. 성유해함 채플에는 874년경 제작된 황금 십자가가 있는데, 여기에는 성십자가의 일부라고 주장되는 조각이 포함되어 있다.
- '''묘실'''은 본당 아래에 있으며, 9세기 교회 하부 구조를 보여준다. 순례자들의 최종 목적지였던 이곳에는 성 야고보와 그의 두 제자 성 테오도로스와 성 아타나시오스의 성유물이 은제 성유물함에 보관되어 있다. 이 성유물함은 1884년 교황 레오 13세가 성물들을 입증한 뒤 1886년에 제작되어 19세기 말 묘실에 설치되었다.
- '''보타푸메이로'''는 대성당 돔에 설치된 도르래 장치를 통해 흔들리는 대형 향로이다. 1851년 금세공업자 호세 로사다가 제작했으며, 무게 80kg, 높이 1.6m로 세계에서 가장 큰 향로이다. 평상시에는 대성당 도서관에 전시되지만, 중요 종교 행사 때는 40kg의 숯과 향을 채워 도르래 장치에 연결한다. 성 야고보 축일이 일요일인 희년에는 모든 순례자 미사에도 사용된다. 8명의 붉은 옷을 입은 '티라볼레이로스'가 밧줄을 당겨 트란셉트 천장에 거의 닿을 정도로 흔들리게 하여 80km/h 속도에 도달하며 짙은 향 연기를 뿜어낸다.
3. 2. 1. 포르티코 다 글로리아 (영광의 문)
마에스트로 마테오와 그의 공방이 레온의 페르난도 2세의 의뢰를 받아 제작한 로마네스크 양식의 포르티코이다. 1188년에 완공되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완공 날짜가 새겨진 돌이 대성당에 설치되었고, 인방들이 포르티코에 놓였다. 이 포르티코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종 완공은 1211년에 이루어졌다. 이때 레온의 알폰소 9세가 참석한 가운데 대성당 축성식이 거행되었다.[52][53]포르티코 다 글로리아에는 세 개의 아치가 있는데, 이 아치들은 대성당의 세 신랑과 일치하며 두꺼운 교각과 필라스터로 지지된다. 중앙부 아치는 다른 두 아치보다 너비가 두 배 넓고, 팀파눔이 있으며, 성 야고보를 묘사한 멀리온(중심부 기둥)으로 나뉘어 있다. 수직적으로 보면, 아래 부분은 환상 속 동물들로 장식된 기둥들의 기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간 부분은 사도들의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고, 윗부분은 문 세 개를 장식하는 아치들의 기초를 떠받치고 있다. 조각상들은 요한의 묵시록과 구약에서 비롯된 여러 상징들에 대한 도상학적 표현을 위해 제작되었다.[73]

팀파눔의 배치는 사도 요한의 '묵시록' (1장 1절에서 18절)에서 언급된 그리스도에 대한 묘사를 기반으로 한다. 가운데에는 손과 발에 십자가형 상처가 있는 마예스타스 도미니 형상의 팬토크레이터가 표현되어 있다. 예수 주변은 복음서기자들의 모습을 한 테트라모프가 있으며, 상징물들과 함께 나타난다. 왼쪽 상단부터 사도 요한과 독수리, 그 아래에는 사도 루가와 수소, 오른쪽 상단에 세금 징수자의 후드를 쓴 사도 마태오, 그 아래에 복음사가 마르코와 사자 등이 새겨져 있다.[74]
복음사가들 양옆, 마르코와 루가 뒤로는 네 명의 천사들이 그리스도의 고난 때 도구를 지닌 채 각 모서리에 있다. 이들과 직접 닿는 것을 제외하고, 일부는 십자가와 가시관(좌), 창과 못 네 개, 예수가 매 맞았던 기둥, 본시오 빌라도가 자신의 무죄를 선언할 때 사용한 물병 등이다. 천사들 머리 위로는 두 무리의 복자들의 영혼 40명이 있다. 팀파눔 중심부의 아치볼트에는 신의 영광을 위한 공연을 준비하는 듯한 '묵시록'의 장로들이 앉아 있으며, 각자 악기를 들고 있다.[74]

멀리언에는 성 야고보의 형상이 순례객의 지팡이를 든 채 앉아 있는데, 이는 대성당의 수호성인으로서의 모습을 나타낸다. 성 야고보는 'Misit me Dominus'(주가 나를 보내셨네)라고 적힌 두루마리와 함께 표현되었다. 그의 머리 바로 위 기둥의 주두는 예수의 유혹을 나타낸다. 대성당 내부를 바라보는 멀리온의 세 면에는 무릎을 꿇은 두 천사들이 기도를 하고 있다. 야고보의 발아래에는 삼위일체를 나타내는 형상들이 있는 또 다른 주두가 있다. 사도 아래에는 이새의 나무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다윗 왕의 아버지 이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이르는 족보를 나타낸다. 이베리아반도 내에서 이 주제가 종교적 도상학으로 등장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멀리언은 턱수염이 가슴까지 내려오는 인물(노아로 추정)과 사자 두 마리가 있는 기단 위에 올려져 있다. 대성당 주 제단을 바라보는 방향, 멀리언 하단부에는 'Architectus'(건축가)라는 문구를 든 채 무릎을 꿇고 있는 마에스트로 마테오의 조각상이 있다. 마테오의 조각상은 지식을 얻기 위해 이 조각상에 머리를 부딪히는 학생들의 옛 전통에서 비롯한 Santo dos Croques[75]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전통은 이후 순례자들에게도 전해졌으나, 작품의 추가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

가운데 문과 양쪽 문들의 기둥 부분에는 각자의 도상학적 특성을 지닌 선지자들과 다른 인물들과 더불어 사도들이 나타나 있다. 이 조각들 위로 동물들과 머리에 잎사귀 무늬가 있는 두상이 나타나 있는 주두가 올려져 있다. 조각상에 표현된 모든 인물의 이름은 조각상들이 들고 있는 책 또는 두루마리에 새겨져 있다.
포르티코의 네 기둥은 동물들과 턱수염이 난 사람들로 된 다양한 집단들이 나타나 있는 튼튼한 기단을 기반으로 한다. 일부 역사가들은 여기에 표현된 것들이 악마의 형상이고 원죄를 분쇄하는 영광의 무게(이 경우에는 포르티코)를 상징한다고 한다. 다른 사료들에서는 전쟁, 기근, 죽음(동물들로 표현) 등의 상황들이 인간의 지혜(노인들의 머리상)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종말론적 해석을 제시한다.
우측 문의 아치에는 최후의 심판이 나타나 있다. 이중 아치볼트는 머리 조각상을 통해 똑같이 두 개로 나뉘어 있다. 일부 저술가들은 이 머리 조각상의 주인을 대천사 미카엘과 그리스도로 보고 있다. 그 외에는 이들이 판토크라토르로서의 그리스도와 천사이고 성부와 성자를 나타낸 것이라고도 한다. 이 머리 조각상들 오른쪽으로는, 저주받은 영혼들을 이끌고 가 고문하는 괴물들(악마)의 모습이 있다. 왼쪽에는 선택받은 자들과 함께, 구원받은 영혼들을 상징한 어린아이들과 천사들의 모습이 있는 천국이 나타나 있다.[76][77]
왼쪽 문의 아치는 구약의 장면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구원자의 도착을 기다리는 선한 자를 표현하고 있다. 첫 번째 아치볼트의 가운데 부분에는 순례자를 축복하고 영원 불멸의 서를 쥐고 있는 창조신이 있으며, 그의 오른쪽으로는 아담(나체의 모습), 아브라함, 야곱이 있다. 이들과 같이 있는 자들인 두 명은 노아(대홍수로부터 인류를 구원한 새로운 아버지)와 에서 또는 이사악과 유다일 수 있다. 신의 왼쪽으로는 이브, 모세, 아론, 다윗 왕, 솔로몬 왕이다. 위쪽에 있는 두 번째 아치볼트에는, 이스라엘의 열두 부족을 나타내는 작은 조각상 열 개가 존재한다.[74]
3. 2. 2. 신랑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은 길이 97m, 높이 22m의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로, 원래의 원통형 궁륭과 십자형 내부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내부는 단일 신랑, 두 개의 측면 통로, 넓은 익랑, 성가대, 제실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성당 내부는 장대한 오르간 파이프와 화려한 성가대를 보기 전까지는 엄숙한 인상을 준다. 스페인 최대 규모의 로마네스크 교회이자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이다.
원통형 궁륭으로 된 신랑과 교차 궁륭으로 된 측랑은 열 한 개의 공간을 이루고, 넓은 익랑은 여섯 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합 기둥들에는 의장 기둥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중 세 개는 측랑의 교차 궁륭과 아치볼트의 트러스를 지탱하고, 네 번째 기둥은 아치볼트 중심부에 도달한다. 대성당 측랑 위로는 그림들이 높게 펼쳐져 있다.
3. 2. 3. 내진
원통형 궁륭으로 된 신랑과 교차 궁륭으로 된 측랑이 열 한 개의 공간을 이루고 있으며, 넓은 익랑이 여섯 개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모든 복합 기둥들에는 의장 기둥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기둥들 중 세 개는 측면에 있는 측랑의 교차 궁륭과 아치볼트의 트러스를 견디고 있고, 네 번째 기둥은 아치볼트의 중심부에 도달한다. 대성당의 측랑들 위로 아주 높은 높이에 있는 그림들이 펼쳐져 있다.내진은 세 개 공간에 걸쳐 있고 주보랑 한 곳과 제실 다섯 곳에 둘러싸여 있다. 제실은 클리어스토리를 형성하고 있는 원형 창문들이 달려 있다. 성가대석은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된 뛰어난 장식성을 보여주고 있다. 13세기에 제작된, 호화롭게 장식된 성 야고보의 조각상과 같이 거대한 천개가 본당 위로 우뚝 서 있다. 순례자들은 본당 뒤로 좁은 통로를 통해 성인의 조각상의 맨틀에 입을 맞출 수 있다.
내진 쪽의 통로에는 격자 구조로 된 몬드라곤 채플 (1521)이 두드러진다. 제실들에는 수세기간 수집된 그림, 제단화, 성유해함, 조각상 등이 있다. 성유해함 채플 (Capela do Relicariogl)에는 성십자가의 일부라 주장되는 조각이 포함된, 874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십자가가 존재한다.
3. 2. 4. 묘실
본당 아래에 있는 지하 묘실은 9세기 당시 교회 하부 구조를 보여준다. 이곳은 순례자들의 최종 도착 지점이었다. 묘실은 성 야고보와 그의 두 제자인 성 테오도로스와 성 아타나시오스의 성유물을 보관하고 있다. 1884년에 교황 레오 13세가 이곳에 보관되던 성물들에 대한 입증을 마친 뒤 은으로 된 성유해함 (호세 로사다가 1886년에 제작)이 19세기 말 묘실에 설치되었다.[78][79]
수 세기 동안에, 성인의 매장 장소는 거의 잊혀졌었다. 꾸준한 네덜란드와 영국의 침입 때문에, 성유물들이 1589년에 본당에 있는 곳에서 안전한 장소로 옮겨졌었다. 그리고 유물들은 1879년 1월에 다시 발견되었다.[35][36]
3. 2. 5. 보타푸메이로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 십자형 건물 위 돔에는 이 교회에서 유명한 향로인 "보타푸메이루"를 흔들기 위한 도르래 장치가 있다. 1851년 금세공인 호세 로사다(José Losada)가 제작했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보타푸메이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향로로, 무게는 80kg이고 높이는 1.6m이다. 평상시에는 대성당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지만, 중요한 종교 축일에는 도르래 장치에 연결되어 40kg의 숯과 향이 채워진다. 성 야고보 축일이 일요일에 해당하는 해인 희년에는 보타푸메이루가 모든 순례자 미사에도 사용된다. 8명의 붉은 옷을 입은 '티라볼레이루스'(tiraboleiros)가 밧줄을 잡아당겨 트란셉트 천장에 거의 닿을 정도로 흔들리게 하여 80km/h의 속도에 도달하며 짙은 향 연기를 뿜어낸다.[23]
4. 주요 인물
이름 | 설명 |
---|---|
알폰소 다니엘 로드리게스 카스텔라오 | 판테온 데 갈레고스 일루스트레스(갈리시아 저명인사 묘역)에 안치됨 |
브라가의 프룩투오소 | |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 |
페르난도 페레스 데 트라바 | |
레온의 페르난도 2세 | |
레온의 알폰소 9세 | |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카스트로 | |
가스파르 데 아발로스 데 라 쿠에바 |
참조
[1]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Old Town)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1-01-10
[2]
웹사이트
Catedral Igrexa Catedral Metropolitana
http://www.mcu.es/
Ministerio de Cultura
2011-01-09
[3]
서적
Cristianismo y aculturación en tiempos del imperio romano
http://revistas.um.e[...]
Universidad de Murcia
2014-10-15
[4]
서적
El libro de los santos
https://books.google[...]
Centro De Pastoral Liturgic
2015-11-14
[5]
문서
Portela Silva 2003
[6]
문서
Garrido Torres 2000
[7]
문서
Garrido Torres 2000
[8]
문서
Bravo Lozano 1999
[9]
서적
Galicia feudal
https://books.google[...]
Editorial Galaxia
2015-11-14
[10]
뉴스
El desconocido origen de los cimborrios románicos apunta a Compostela
https://www.eldiario[...]
ElDiario.es
2022-08-06
[11]
웹사이트
Fachada del workdoiro
http://www.telefonic[...]
Rincones de Santiago
2010-10-17
[12]
서적
Manual del Arte Español
Silex
[13]
웹사이트
É posible que teñas pasado centos de veces por esta praza.
https://twitter.com/[...]
2023-01-23
[14]
문서
Navascués 1997
[15]
웹사이트
Fachada de Platerías
http://www.fbarrie.o[...]
Fundación Barrie
[16]
서적
Vida cotidiana en la España medieval: Actas del VI Curso de Cultura Medieval, celebrado en Aguilar de Campóo (Palencia) del 26 al 30 de septiembre de 1994
Santa María la Real
[17]
서적
Los siglos del barroco
https://books.google[...]
Akal
[18]
웹사이트
Exteriores: fachadas e prazas
http://www.santiagot[...]
Web oficial de turismo de Santiago de Compostela
2010-10-18
[19]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http://www.ruralpoin[...]
RuralPoint Turismo Rural
2010-10-18
[20]
웹사이트
Vega y Verdugo y la introducción del Barroco
https://web.archive.[...]
Junta de Castilla y León
2010-10-19
[21]
문서
Otero Pedrayo 1965
[22]
웹사이트
Catedral do Apóstolo Santiago – Santiago de Compostela (Galicia)
http://campaners.com[...]
Campaners de la Catedral de València
2010-10-19
[23]
간행물
La Berenguela y la Torre del Reloj de la Catedral de Santiago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 Santiago de Compostela
[24]
문서
Navascués 1997
[25]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Catedral
http://cvc.cervantes[...]
Centro Virtual Cervantes
2010-10-19
[26]
웹사이트
La torre del reloj de la catedral
http://campaners.com[...]
Campaners de la Catedral de València
2010-10-20
[27]
웹사이트
Les campanes originals del rellotge de la Catedral de Santiago de Compostela
http://campaners.com[...]
Campaners de la Catedral de València
2010-10-20
[28]
웹사이트
The Santiago Botafumeiro
https://rawtravel.co[...]
2023-05-05
[29]
웹사이트
Xacobeo 2021 and 2022
https://www.mundiplu[...]
2020-03-21
[30]
문서
Vázquez/Yzquierdo/García/Castro 1996
[31]
웹사이트
Pórtico de la Gloria y el Maestro Mateo
http://www.arteguias[...]
Arteguias
2010-10-17
[32]
웹사이트
El Maestro Mateo o el Santo dos Croques
https://web.archive.[...]
Centro virtual Cervantes
2010-10-17
[33]
웹사이트
La Catedral Metropolitana
http://www.archicomp[...]
Portal de la Archidiócesis de Santiago de Compostela
2010-10-17
[34]
웹사이트
El Pórtico de la Gloria, Alzado
https://web.archive.[...]
Rincones de Santiago
2010-10-17
[35]
서적
Historia de la Iglesia Católica en sus cuarto grandes edades: Edad antigua (1–681)
https://books.google[...]
Editorial Católica
[36]
논문
Los años santos compostelanos del siglo XX. Crónica de un renacimiento
https://web.archive.[...]
2005-01
[37]
웹사이트
Santiago de Compostela (Old Town)
http://whc.unesco.or[...]
Whc.unesco.org
null
[38]
웹사이트
Catedral Igrexa Catedral Metropolitana
http://www.mcu.es
Ministerio de Cultura
2011-01-09
[39]
서적
サンチアゴ・デ・コンポステラ大聖堂
2007
[40]
웹사이트
サンティアゴ・デ・コンポステーラの大聖堂
http://www.spain.inf[...]
Turespaña / Segittur
2016-11-10
[41]
논문
国際宗教社会学会大会報告 : サンティアゴ・デ・コンポステーラ2009
https://hdl.handle.n[...]
中外日報社
[42]
웹사이트
Historia
http://www.catedrald[...]
Cathedral de Santiago
2016-11-24
[43]
논문
中部イタリアの共和制都市国家における聖遺物収集 : ピストイア大聖堂を中心に
http://id.nii.ac.jp/[...]
尚美学園大学総合政策学部
[44]
웹사이트
サンティアゴデコンポステラ大聖堂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6-11-24
[45]
웹인용
Santiago de Compostela (Old Town)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1-01-10
[46]
웹인용
Catedral Igrexa Catedral Metropolitana
http://www.mcu.es/
Ministerio de Cultura
2011-01-09
[47]
서적
Cristianismo y aculturación en tiempos del imperio romano
http://revistas.um.e[...]
Universidad de Murcia
2014-10-15
[48]
서적
El libro de los santos
https://books.google[...]
Centro De Pastoral Liturgic
2015-11-14
[49]
문서
Portela Silva 2003
[50]
문서
Garrido Torres 2000
[51]
문서
Garrido Torres 2000
[52]
문서
Bravo Lozano 1999
[53]
서적
Galicia feudal
https://books.google[...]
Editorial Galaxia
2015-11-14
[54]
뉴스
El desconocido origen de los cimborrios románicos apunta a Compostela
https://www.eldiario[...]
2022-08-06
[55]
웹인용
Fachada del workdoiro
http://www.telefonic[...]
Rincones de Santiago
2010-10-17
[56]
서적
Manual del Arte Español
Silex
[57]
문서
Navascués 1997
[58]
웹인용
Fachada de Platerías
http://www.fbarrie.o[...]
Fundación Barrie
[59]
서적
Vida cotidiana en la España medieval: Actas del VI Curso de Cultura Medieval, celebrado en Aguilar de Campóo (Palencia) del 26 al 30 de septiembre de 1994
Santa María la Real
[60]
서적
Los siglos del barroco
https://books.google[...]
Akal
[61]
웹인용
Exteriores: fachadas e prazas
http://www.santiagot[...]
Web oficial de turismo de Santiago de Compostela
2010-10-18
[62]
웹인용
Santiago de Compostela
http://www.ruralpoin[...]
RuralPoint Turismo Rural
2010-10-18
[63]
웹인용
Vega y Verdugo y la introducción del Barroco
https://web.archive.[...]
Junta de Castilla y León
2010-10-19
[64]
문서
Otero Pedrayo 1965
[65]
웹인용
Catedral do Apóstolo Santiago – Santiago de Compostela (Galicia)
http://campaners.com[...]
Campaners de la Catedral de València
2010-10-19
[66]
저널
La Berenguela y la Torre del Reloj de la Catedral de Santiago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 Santiago de Compostela
[67]
문서
Navascués 1997
[68]
웹인용
Santiago de Compostela. Catedral
http://cvc.cervantes[...]
Centro Virtual Cervantes
2010-10-19
[69]
웹인용
La torre del reloj de la catedral
http://campaners.com[...]
Campaners de la Catedral de València
2010-10-20
[70]
웹인용
Les campanes originals del rellotge de la Catedral de Santiago de Compostela
http://campaners.com[...]
Campaners de la Catedral de València
2010-10-20
[71]
웹인용
The Santiago Botafumeiro
https://rawtravel.co[...]
2023-05-05
[72]
웹인용
Xacobeo 2021 and 2022
https://www.mundiplu[...]
2023-07-21
[73]
문서
Vázquez/Yzquierdo/García/Castro 1996
[74]
웹인용
Pórtico de la Gloria y el Maestro Mateo
http://www.arteguias[...]
Arteguias
2010-10-17
[75]
웹인용
El Maestro Mateo o el Santo dos Croques
https://web.archive.[...]
Centro virtual Cervantes
2010-10-17
[76]
웹인용
La Catedral Metropolitana
http://www.archicomp[...]
Portal de la Archidiócesis de Santiago de Compostela
2010-10-17
[77]
웹인용
El Pórtico de la Gloria, Alzado
https://web.archive.[...]
Rincones de Santiago
2010-10-17
[78]
서적
Historia de la Iglesia Católica en sus cuarto grandes edades: Edad antigua (1–681)
https://books.google[...]
Editorial Católica
[79]
저널
Los años santos compostelanos del siglo XX. Crónica de un renacimiento
https://web.archive.[...]
20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